제레미의 OTT NEWS
구글TV! TV의 수동성을 깰 수 있는 전술 필요! 본문
구글의 발표로 TV 가전사, 케이블, IPTV등 방송 플랫폼, 인터넷 서비스 회사들은 분주하게 계산기를 두드린다.
구글의 TV 공략은 이미 3년 전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2009/04/27 - [TV 2.0 & 미디어2.0] - 안드로이드TV,플래쉬TV 탄생하나?
2008/09/10 - [VOD 및 양방향 서비스] - 구글 TV 광고 진입! NBC 계약의 의미와 파장
2008/08/19 - [해외 동영상 HOT Trend] - 구글폰 안드로이드 TV까지 넘본다!
극단적 해석을 즐기는 언론은 구글TV의 등장으로 가전사나 케이블에게 매우 위협적일 수 있다는 점과 애플의 TV 출시 이전에 선점 효과를 노린 구글의 성공 기회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예측이 가능한 시나리오이다. 그러나 이미 산업과 제품 그리고 서비스등이 물고 물리는 경쟁 관계와 때론 상상을 초월하는 제휴를 통해 서로의 상생을 모색하고 있는 <적도 동지도 없는 비즈니스 현장>에서는 단정적인 결론은 무의미하다.
플랫폼을 둘러싼 사업자간의 이해관계는 이미 많은 분석이 있으니 덧보태식 분석보다 다양한 시각에서 평가해보는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관련 기사 보기)
TV를 이용하는 고객 입장에서 구글TV를 바라보자.
인터넷이 연결된 TV로 이용자들은 구글TV로 인터넷 공간에 존재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즐길 수 있다. 구글 TV는 인터넷의 검색이나 데이터 서비스 그리고 유투브등 동영상 서비스를 TV로 옮겨오려 한다. 구글의 클라우드를 TV에 연결하여 영토를 확장하려는 전략이다.
가전사들이 넷플릭스 등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TV에 연결하려는 브로드밴드TV나 모바일 앱스토어를 TV로 이식시키려는 모델이 융합된 모델이다.
넷플릭스, VUDU등을 LG TV나 블루레이플레이어, XBOX등을 통해 이미 서비스가 제공 중인 미국의 사례를 보면 인터넷이 연결된 TV를 구매한 이용자 중 15~20%만이 실제로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동안 TV 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시도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인터넷 브라우저를 TV로 그대로 옮겨 보기도 하였고 소위 갇혀진 정원 방식 (Walled Garden)으로 TV에 적합한 위젯 형식으로 제공해보기도 하였다.
게임이나 노래방과 같은 가족들이 함께 즐기거나 재미 요소가 강한 콘텐츠 이외에는 큰 인기를 못 얻어온 것이 현실이다.
구글 TV가 성공하려면 이러한 TV의 수동성을 극복할 서비스 전략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는 애플이 더 준비되어 있다. 애플이 만드는 TV는 아이폰과 아이패드와 동일한 이용방법과 UX를 가졌다는 것과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을 TV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용자의 수동성을 변화시키는데는 훨씬 큰 장점을 가진 것이 사실이다.
얼마전 구글은 미국의 위성방송 DISH와 검색 제휴를 한다고 발표 한 바 있다. 이번 제휴에는 눈여겨볼 부분이 있다. DISH가 보유한 200여개 방송 채널의 편성 정보 데이터(EPG 데이터)를 구글의 검색과 연동한 서비스를 준비중이라는 점이다. 기존의 TV 서비스 공간의 서비스 매쉬업을 통해 해법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TV의 인터넷 서비스(Web-Like) 를 즐기는 이용자들은 기본적으로 적극적인 기술 수용 집단일 것이다. 그런데 이 집단이 기본적으로 TV에서 점점 멀어져 가고 있다. 이용고객의 역설적 상황은 단순히 <구글> 브랜드 만으로 TV로 불어오는데는 한계가 있다.
모바일과 TV를 연계하는 등 쓰리스크린을 통해 디바이스를 하나의 울타리로 만드는 서비스가 적극 도입되어 자연스럽게 TV로부터 멀어지는 이용자들을 묶어둘 수 있을 것이다.
구글의 해법이 무엇일지 기대해본다.
2011년부터 생산되는 TV의 80% 이상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모델이라고 한다. 가전사들은 인터넷이 연결되고 넷플릭스, 구글 검색이 가능한 TV의 가격을 20% 이상 조금 높게 매길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가전사들은 TV를 한대 팔고 나면 5년이 될지 10년이 될지 제발 교체 해주기를 바랄 뿐이었지만 TV에 연결된 인터넷 서비스로 가전사가 직접 고객과의 접점을 맺어갈 수 있다. 가전사들이 콘텐츠 게이트웨이로 나서는 이유이다.
구글을 위시한 OS 진영은 동일한 OS로 TV와 모바일, PC를 엮어 광고 서비스의 유효 모수를 확대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전세계에서 방송 채널을 서비스를 가입자 기반으로 서비스하는 케이블이나 신흥 IPTV 서비스들이 건재하다. 이들 입장에선 구글TV와 같은 미래형 TV 서비스를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 호들갑 스럽게 반응하지 않는다.
다만 케이블, IPTV에 비해 가전사가 준비하는 기술 진보 속도나 구글, 애플등의 OS와 어플리케이션 준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불안하고 초조하다.
그리고 생각보다 인터넷연결 TV의 판매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도 이들을 자극한다.다2009년 12월 미국에서 판매된 전체 TV중 25%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TV라고 한다. 구글TV의 발표는 적절한 시기의 이슈 메이커가 되었다. 사업자들의 다양한 고민과 전략의 준비를 통해 TV 매체는 진보를 거듭할 것이다.
모바일에 비해 TV는 기술 수용 속도가 매우 더디다. 동영상 소비가 90%가 넘는 TV 위에서 이용자를 사로잡을 서비스나 획기적인 UX 그리고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만드는 플레이어가 승자가 될것이다.
이용자의 변화를 누가 먼저 읽고 움직이느냐, 이용자가 움직일 수는 길에 누가 먼저 진지를 구축하느냐의 전략 싸움이다. 구글TV로 TV의 진화는 한층 더 앞서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