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레미의 OTT NEWS

IT 해외 벤치마킹의 허와 실 본문

잔잔한 일상이야기

IT 해외 벤치마킹의 허와 실

jeremy797 2009. 1. 19. 08:46
TV2.0으로 시작되는 필자의 블로그는 TV를 둘러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나 기술의 변화와 그 안에서 유저가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를 예측하고자 한다. 
주로 TV와 온라인, 모바일간의 컨버전스에 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그 주제의 실타래는 해외의 사례에서 많이 찾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벤치마킹이라고 한다.


벤치마킹의 사전적 의미는 <측정기준>이라고 한다.  기업의 매출이나 재무재표와 같은 특정한 측명 지표를 만들어놓고 우수 상대 기업을 선정하여 자기 기업과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프로세스를 벤치마킹이라고 한다. 

이제 기업에서 벤치마킹이란 특정 프로세스라기 보다는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모범 따라하기> 라고 보여진다.


전문성을 견지하는 여러 블로그도 이러한 벤치마킹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블로그의 운영자는 그런 목적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방문자들은 블로거들이 먼저 모아놓고 고민하는 주제를 통해 방문자들이 속한 조직이나 학교등에서 고민하고 있는 사업이나 주제등을 적용하여 이를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큰 범주에서 이 모든 행위가 벤치마킹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주로 벤치마킹의 결과물들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주목하는 분야는
TV,온라인등의 컨버전스가 현실화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  하드웨어에 대한 리뷰 보다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정교한 분석과 선행적인 고객의 니즈를 예측해 보는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은 특정 사업이나 서비스가 돈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무료 광고 사업, 유료 과금, 월정액 수신료 등 다양한 방법의 비즈니스와 동영상 시청과 게임 제공등 다이나믹한 서비스와 신기술의 등장으로 가능한 새로운 사업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를 찾는 과정은 매우 즐거운 경험이다. 


특히 최근의 경향은 유연한 제휴가 동종, 이종 업계간에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TV위젯만 하더라도 지난 수년간 콧대 높던 TV가전사와 인터넷만으로도 충분히 산업의 파이를 키워나가던 인터넷 포탈들이 어떻게 피를 섞는지를 살펴보다보면 제휴의 방법이나 득실을 따지는 일이 유사한 제휴를 만들어 내고 싶은 남모를 비즈니스의 도전 과제를 던져주곤 한다.   유투브, 훌루, Apple TV, 넷플릭스, LG, 케이블, IPTV등 온라인, 방송, TV간의 합종연횡은 제휴의 ABC를 알려주는 좋은 벤치마킹 대상이다.
 

그런데 해외 사례를 보다보면 한국과는 다른 현실에 다소 무기력한 감정이 뒤따른다. 

비즈니스 단위의 단순함이라고 할까.  무료 광고 모델, 유료 과금 등 이분화된 비즈니스 모델 말고는 비즈니스의 다양함이 부족하다.  특히 동영상 콘텐츠를 돈을 내고 보아야한다는 문화의식이 다소 부족한 한국의 현실은 벤치마킹의 가장 큰 목적인 <장점의 이식>을 어렵게 한다.  벤치마킹은 자칫 사대주의적 평가, 즉 남의 것은 다 좋고 우리 것은 작아보이는 누를 범할 수 있으니 발전적인 접점을 찾는 일이란 참 어려운 일이다.

 

전세계를 통틀어 TV가전의 1, 2위는 삼성과 LG로 한국 회사들이다.  그런데 TV위젯이나인터넷TV와 같은 신 모델은 북미 지역에 우선 출시한다.  그 이유는 시장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시장의 사이즈는 사업 모델을 다양화 시키지 못하는 가장 큰 장벽이기도 하다.

벤치마킹을 통해 얻는 확대 가능한 아이템들을 한국 상황에 적용시키려 하다보면 늘 시장의 크기가 작아서 어렵다는 판단이 들때가 많다이 또한 벤치마킹에서 느끼는 장벽이다. 

 

또 한가지 딜레마는 새로운 과제들을 전파하는데 느끼는 소통의 장벽이다.  벤치마킹에서 얻어진 성과를 혼자의 힘으로 발전시킬 수는 없다.  기존 사업에 반영이 되던 신사업 아이템으로 발전하든 조직 구성원과 이를 공유해야 한다. 
조직의 프로세스안에서 움직이는 작은 컨베이어 벨트의 구성원들은 다른 세계의 이야기에 귀 기울일 여유가 없다.  또는 설사 그것이 옳고 배워야한다고 해도 너그럽게 수용할 포용력도 적어보인다.  왜냐하면 그렇게 해보아야 현실화되기 어렵다는 현실의 틀을 깰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블로그와 소통하는 다른 회사, 다른 조직에 속하는 사람들이 공감하고 이메일을 주고받고 사업모델을 상의하곤 한다.  가까운 동네 사람들과는 나누지 못하고 먼 동네의 얼굴도 모르는 온라인 지인들과 더 친한 격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블로그를 통한 벤치마킹의 희열을 중단할 생각은 없다.  어디선가 어렵게 찾은 비밀스런 동영상을 이불을 뒤집어 쓰고 혼자서만 키득키득 웃음 지으며 보다보면 누군가와 함께 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블로그는 그런 마음이다. 


TV,
온라인,모바일의 컨버전스는 매우 빠른 속도로 과속 질주를 하고 있다.  이를 먼저 목격하고 분석하는 기쁨이 있기 때문에 현실과의 괴리도 있지만 비밀스런 이야기 찾기는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