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레미의 OTT NEWS

09CES-TV의 버튼이 사라질것인가? 본문

해외 박람회

09CES-TV의 버튼이 사라질것인가?

jeremy797 2009. 1. 14. 09:06
TV를 켜고, 끄는 행위는 리모컨으로 가능하다.  Remote Control의 준말인 리모컨은 원격으로 조정하는 작은 기기를 일컫는다.  리모컨은 버튼을 작동시켜 TV와 약속된 신호를 TV로 보낸다.  버튼은 리모컨의 핵심이다.  과거 리모컨의 기술력이나 진화의 방향은 버튼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버튼 재질의 퀄리티를 높이거나 버튼의 숫자를 줄이거나 자주 쓰지 않는 버튼등을 숨기는 등 버튼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모바일도 마찬가지였다.  버튼을 멋스럽게 모양을 바꾸거나 버튼에 형광재질로 불빛을 내는 등의 변화가 이어졌다.  모바일에서 혁명이 먼저 일어났다.  버튼을 없앤 유저 인터페이스가 아이팟에서 일어났으며 이어 터치 스크린이라는 제2의 혁명으로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일대 전환기를 맞이한다.

 

필자는 TV 리모컨의 혁신에 대해 동작인식이나 터치스크린의 적용등에 관해 언급한 바 있다.  2008/10/27 - [User Experience 2.0] - 케이블-IPTV 리모컨 전쟁의 관전 포인트


이번 2009 CES에서는 TV 리모컨의 변화 방향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하게된 계기가 되었다.

파나소닉에서 작년에 선 보인바 있는 EZ Touch 리모컨은 2009 CES에서 직접 목격하였다.

이 리모컨은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와 손목 동작 인식을 동시에 적용하였다.  리모컨에 사방향의 최소한 키만 존재하고 번호 키를 모두 없앴다.


TV위에 엄지 손가락 이미지가 리모컨의 터치패드를 통해 번호 입력을 할 수 있다.  재미있는 발상이다.


                            파나소닉 EZ Touch 리모컨 시연 모습

모바일은 버튼이나 터치패드가 모바일 기기와 일체형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TV는 리모컨과 TV기기가 분리되어있다.  필연적으로 리모컨을 쳐다보고 다시 TV화면을 쳐다보는 인터페이스 입력의 단절성을 가져올 수 밖에 없다.

TV
화면 위에 엄지손가락을 이미지화 하여 리모컨의 터치패드를 쳐다보지 않고도 특정 번호나 메뉴 명령을 내리고 있다는 인터페이스 작동의 안정감을 주고 있다.  한손 또는 양손으로도 이용이 가능하고 화면 메뉴의 전체 이동은 가벼운 손목 동작으로도 가능하다. 

 

도시바는 2009 CES에서 선 보인 <Spatial Motion Interface>는 손의 모션 작동을 통해 TV의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한 발 앞선 기술을 선 보였다.

 

                          도시바의 Motion 인터페이스 시연 모습

도시바는 화면위의 사진 이미지들을 마치 손으로 사진을 집어서 정렬하고 종이를 꾸겨서 휴지통에 넣는 것처럼 입체적으로 사진들을 정렬할 수도 있다.  TV위에 작은 컨트롤 박스가 손의 동작을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기술의 진보를 확인한 자리였다. 

 

작년 가을 일본의 가전 전시회에서 선보인바 있는 Hitachi(히타치)<Gesture-Controlled TV>는 이와 유사하다.  Canesta사가 개발한 동작인식 및 3D Sensor 칩셋을 탑재한 TV가 아래의 시연 모습 처럼 손의 동작을 인식한다.

 

                            히타치 Gesture-Controlled TV

앞의 파나소닉 리모컨이 2009년 이내 상용화가 가능한 제품인 반면, 도시바와 히타치의 인터페이스는 연구소의 테스트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Geusture 기술 연구는 TV와 게임 분야등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벤처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분야이다.  히타치의 3D Motion 칩셋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이다. 
동작인식을 리모컨을 통해 간접 수행하는 닌텐도 Wii와는 달리 동작의 직접 인식은 오류의 가능성이 높아서 이에 대한 기술적 대응도 필요할것이다. 그러나 오래 걸리지는 않을 것이 분명하다.

 

파나소닉의 EZ Touch 리모컨은 모바일의 진화 방향과 같은 배를 탓다.  오히려 도시바와 히타치의 가상 동작 인식 인터페이스가 TV의 특성에 적합한 독립적인 방향이다. 

소파에 누워 손의 이동만으로 보고 싶은 채널을 돌리거나 유투브 영상을 몇번의 휘저음으로 찾을 수 있다면 TV Lean Back 특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변화는 유저의 욕구가 호응할 때 가능하다.  기술의 진보 속도와 유저의 욕구는 적당한 비례관계를 가져갈 수 있을지가 관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