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OKU (11)
제레미의 OTT NEWS
아 그리고, 멤버쉽 가입을 하시면 보다 좋은 정보들을 함께 나누실 수 있습니다."]]],[1,"p",[]],[10,0]]}"> 이번주의 주간 인사이트로 1분기 실적 발표를 한 미국의 파라마운트와 피콕에 대해 분석해 보았는데요, 넷플릭스에 주는 시사점이 있습니다. 지난주에 이어, 로쿠 소식도 가져왔는데요, STRAZ 라는 케이블채널의 인수를 추진한다고 합니다. 이런 내용을 분석해보았습니다. 국내 소식으로는 쇼박스와 CJ ENM의 투자 소식을 가져왔는데요, 각기 다른 투자이지만 K-콘텐츠의 미래를 위한 준비라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국내 OTT 이용율을 분석한 KISDI의 따끈따끈한 분석 보고서를 소개드립니다. 이 보고서는 본 글에서 링크를 클릭하시어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그럼 한주를 시작하시기..
이번주의 미디어 이슈로 가장 큰 뉴스는 미국의 1,2위 케이블 회사가 합작회사를 설립한다는 내용입니다 치열한 OTT 경쟁 속에서 컴캐스트와 차터가 왜 동맹을 맺었는지 , 합작회사는 무엇을 추진할 예정인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넷플릭스의 애니메이션 제작 중단 소식이 들려옵니다. 가입자 하락 이후 넷플릭스에 대한 부정적 이슈 때문인지 국내 K-드라마 위기 논의까지 이어지는데요, 하지만 약간 다른 시각에서 이런 내용을 분석해보았습니다. 이번주 인사이이트 한번 읽어보시면서 한주를 시작하세요. 아, 멤버쉽 구독하기를 한번 해보시는 어떠신지요? https://jeremyletter.com/comcast-charter-make-jointventure-wekly-media-insight/ [Weekly Insight..
돈을 내고 구독하는 OTT도 있지만 스마트TV에서 무료로 이용이 가능한 OTT도 있죠. 이 범주를 FAST (Free-Ad-Supported-Streaming) 라고 부릅니다. 한국에는 아직 발전하지 않는 영역인데요, 미국에는 난리가 났습니다. 가구당 3개 이상의 FAST가 이용중이라고 합니다. 이미 로쿠등 커넥티드TV가 6천만대 이상 설치된 유통의 잇점이 작용한 것이구요, 무엇보다 대부분의 방송 채널들이 FAST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방송 채널과 관련된 사업, 전략을 담당하시거나 광고 등 미디어 생태계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재미있게 읽어보실 수 있을겁니다. 한국도 초기 시장이기는 하지만 FAST에 대한 시도가 앞으로 늘어날 텐데요, 특히 글로벌 플랫폼과 제휴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독을 권해드..
최근 아마존이 Fire TV를 발표했다. 동글 타입의 디바이스일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셋톱박스 형태를 띄고 있는 Fire TV는 성능의 수준은 갤럭시S4 수준(쿼드코어) 으로 35불의 크롬캐스트에 비해 2배 이상의 품질을 보여주고 있다. 이정도의 사양이라면 200불은 족히 넘어야 하지만 이번에도 아마존은 킨들의 출시 때처럼 희생 전략을 택했다. 99불로 배포하여 플랫폼을 확장한 뒤 수익을 도모하는 전략이다. "디바이스를 구매할 때가 아니라 디바이스를 사용할때 수익을 만들겠다는 전략" 특히 영상과 게임을 두축으로 펼침으로써 OTT TV 시장에선 후발 사업자로서의 약점을 극복하려 한점이 눈에 띄는 전략이다. 스티브 잡스가 Hobby라고 평가하며 전략적 축에서 벗어나 있는것 처럼 보이는 애플tv, 넷플릭스의..
새해 벽두에 미국에서 열린 CES 이후 스마트TV에 관심이 재 점화되고 있다. 통상 CES에서 전시된 제품들이 상용화되기 까지는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최근 국내에서 삼성전자는 CES에서 선보인 스마트TV를 외부에 공개하는 블로거 데이를 2월 8일 경에 개최하는 것을 보면 스마트TV 진영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또한 스마트TV에 대한 공개 토론회들도 연이어 개최되고 있다. 필자는 평소 스마트TV는 제품의 기술 트렌드로는 당연한 수순이지만 TV 시청 경험을 변화 시키는 “혁신의 씨앗”은 아니라는 견해였다. 2010/10/03 - [TV 2.0 & 미디어2.0] - 스마트TV를 해석하는 2가지 시각:TV와 TV소비 경험! 이러한 판단은 TV에 대한 이용자들의 수동적 이용 행태와 TV 보다 변화의 질(Qu..
최근 ‘클라우드’ 서비스가 IT 트렌드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이용자들이 분산시켜서 이용하고 있는 콘텐츠나 인터넷 서비스를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저장 공간으로 모아 놓으려고 한다. 국내에서는 나우콤이 1테라바이트 저장 공간을 무료로 주는 '세컨드라이브'를 런칭하면서 포문을 열었고 네이버의 N드라이브와 KT, LG 등 통신회사들도 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쉽게 보면 웹하드 서비스와 유사해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서비스들은 얼마나 많은 저장 공간을 주느냐의 경쟁으로 번지고 있다. 이러한 경쟁으로는 웹하드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기는 어렵다. PC 이외에 모바일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지만 모든 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어 차별화 요인도 아니다. 흥미로운 클라우드 서비스가 미국의 'Roku' 에 의해 ..
자극적인 제목이다. 쓰고 싶은 주제는 Apple TV를 포함한 셋톱박스에 관한 평가이다. 한국에서 TV에 연결된 셋톱박스는 크게 두 종류이다. 케이블과 IPTV! 그런데 미국에서는 점차 이러한 기존 방송, 통신 서비스와 경쟁 제품으로 등장하는 새로운 셋톱박스 사업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 영역을 칭하는 분명한 사업적 정의는 부족하지만 일부 언론에서는 로 부르기도 한다.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존재하는 특정 서비스나 콘텐츠를 셋톱박스를 통해 제공한다. 이 서비스의 대표주자는 티보(TIVO) 이다. 미국의 DVR 서비스를 개척한 선두주자로 최근에는 케이블과의 제휴로 정체 국면을 돌파하고 있다. 티보는 DVR 서비스의 기술 라이센스를 가지고 시장을 개척한 경우이다. 콘텐츠를 직접 유통하지는 않는다. 반..
최근 미국 경기 불황의 시작으로 애꿎은 케이블 등 유료방송 위기론이 미국에서 한창 논의 중이다. 일단 HD TV의 판매율이 점차 하락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 케이블,IPTV,위성사업자들의 핵심 경쟁 포인트는 HD (HD화질, HD콘텐츠) 이다. HDTV의 판매 하락은 당연히 방송플랫폼의 위기일 수 있다. (관련자료 보기) 미국의 평론가가 보는 위기의 5가지 이유를 보자. 1> 경기 침체 기본적으로 미국 경제가 한마디로 “쉣”이다. 미국 TV 수신 가구의 80%는 평균 70불의 방송 수신료를 케이블,위성사업자에게 내고 있다. 그런데 TV 시청자들의 20%가 TV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시청하고 이중 50%는 아예 TV 자체를 시청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그룹들이 케이블,위성 가입을 끊고 있다는 것이다. 2..
Slingmedia는 라는 셋톱박스를 런칭하였다. 슬링미디어는 슬링박스를 2005년에 출시한데 이어 3년만에 새로운 상품을 출시하였으며 최근에는 Video 포탈 사업인 Sling.com을 발표한바도 있다. (Sling.com 포스트 보기) 는 인터넷이 연결된 셋톱박스로 다양한 인터넷 미디어 영상화일을 TV로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관련자료보기) XBOX360 게임콘솔이 Netflix의 인터넷 영상을 TV로 보내주고, ROKU 셋톱박스가 다양한 인터넷 영상을 오픈 플랫폼으로 TV에 연결해주는 등 최근의 로컬 셋톱박스의 움직임과 유사한 제품이다. (ROKU 셋톱박스 관련 포스트 보기) 슬링미디어 CEO인 Blake Krikorian은 “수천편의 온라인 영상이 쏟아져 나오는데 이들을 PC가 아닌 대형 스크린..
Roku는 미국의 온라인 DVD대여 사이트인 의 비디오 Stream 서비스를 거실 TV에 제공을 위해 탄생한 셋톱박스이다. (Netflix 관련 포스트 보기) Roku는 Netflix 이외에도 어떤 컨텐츠 제공자나 개인도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플랫폼을 개방하겠다고 발표하였다. (관련자료 보기) Roku CEO는 “우리는 Roku를 통해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를 원하는 모든 사업자에게 플랫폼을 개방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 킷을 오픈하고 어떤 채널이나 TV에 접근하려는 어떤 웹 컨텐츠도 제공이 가능하겠다는 것이다. 사실 Roku는 Netflix 서비스만으로 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해왔다. Roku의 가장 직접적인 경쟁자는 Apple TV와 같은 TV를 상대로 하는 셋톱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