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레미의 OTT NEWS

포털이여 차라리 신문을 버려라! 본문

N-Screen 미디어

포털이여 차라리 신문을 버려라!

jeremy797 2008. 8. 18. 08:56

정부와 한나라당은 인터넷 포탈 뉴스를 언론 영역에 포함시켜 신문법으로 통제하는 것을 추진키로 하였다.  (관련기사 보기)

나경원 한나라당 정책 조정 위원장은 터넷 포털도 최근 뉴스 편집 등을 통해 사실상 언론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어 이에 따른 책임도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핵심은 통제이다.  전세계 유래없는 인터넷 포탈에 대한 압박은 이제 법 개정 추진으로 인터넷 정신과는 정면으로 위배되는 시대의 역행으로 가고 있다.

이미 네이버는 뉴스 편집권을 포기하고 정부 정책에 투항을 발표한 바 있다.

(관련기사 보기)


네이버가 발표한 오픈캐스트의 골자는 유저가 원하는 컨텐츠를 모아 등록하면 다른 유저들이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초기 화면의 뉴스박스의 자체 편집권을 포기하고 언론사들이 직접 만든 편집 뉴스를 이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었다. 

즉 유저가 직접 편집하고 생산해내는 컨텐츠를 자유롭게 유저간에 유통하고 오리지널 뉴스 컨텐츠의 유통은 신문사들에게 맡김으로서 포탈은 개방적인 웹 마당만을 제공한다는 정책이었다.  (오픈 캐스트에 대한 네티즌들의 비판도 많으니 이 부분에 대한 평가는 뒤로 미루기도 하자)

다음의 언론 상생 모델도 이와 유사하다. (관련포스트보기)

 

아울러 최근 발표된 신문사들의 <뉴스유통 합리화 프로젝트>는 뉴스뱅크라는 별도의 신문사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 직접 뉴스 유통을 책임지겠다는 언론사들의 움직임도 있었다.

(관련포스트 보기)

 

뉴스 컨텐츠 유통에 관한 역할 분담과 책임 소재가 사업자간의 질서에 따라 자리를 잡아나가는 이때, 정부와 한나라당의 발표는 지나친 포탈 압박이란 비난을 면할길이 없다.

촛불정국을 퍼트린 주범은 인터넷 포탈이니 정국 주도권을 잡아가는 시점에서 포탈을 손보지 않으면 안된다는 정치적 의도가 다분히 실려있다.

 

포탈들은 어떤 전략으로 대응할 것인가.

네이버와 다음은 기업이다.  MBC KBS와 같은 언론사와는 태생이 다르다.  정치적 견해가 분명한 노조도 없다.  정부의 주장처럼 인터넷 포탈들이 언론의 역할을 한다면 오늘 즈음 포탈들은 성명을 발표하고 파업이라도 해야 옳다.  그러나 이들은 인터넷 기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 포탈은 언론이 아니고 컨텐츠 유통의 허브를 담당하는 게이트웨이 사업자이다
.  이참에 이점을 분명히 해야한다.  물론 포탈이 언론인가 하는 논쟁이 오랫동안 있었다. 

, 다음의 아고라라는 마당을 만들어 놓았다고 해서 다음이 언론은 아니다.  아고라에서 정치적 견해의 다양한 주장을 교류하고 소통하는 네티즌 자체가 언론이다.  그래서 정부의 금번 대책은 실효성이 없다.  네이버나 다음을 때려잡으면 2008년 식 빅브라더가 탄생할 수 있을까.


만일 신문법 통제가 강행된다면 네이버나 다음도 언론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포탈 내 논설기능을 신설하고 직접적인 정치적견해와 사회 이슈에 대한 특정 여론을 주도해나가야 마땅하다.  그러나 네이버나 다음은 그럴 마음이 전혀없다.
 

뉴스 컨텐츠의 유통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  포탈 입장에서는 유저 유인력에 없어서는 안될 컨텐츠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제 뉴스 컨텐츠의 생산력과 퀄리티가 기존 언론에서 유저에게도 넘어오고 있다.  소셜미디어로서 블로그의 성장과 매개가 그 반증이다.


그렇다면 차라리 포탈은 기존 언론이 생산해내는 1차 뉴스 컨텐츠를 과감히 버려라.


아니면 비즈니스 적 유통 질서에 따라 신문사들이 하고 싶어하는 뉴스 유통에 동참해 주어라.  뉴스의 유통이 선형적이고 입체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고 해서 포탈로 이어지는 유저의 동선을 막을 수는 없다.

 

뉴스의 생명은 속보성이며 fact 자체의 나열이다.  이를 공감하고 분석하는 힘은 유저의 몫이다.  2차적 뉴스의 생산이 유저에게도 이동하고 있음을 인지해야한다.  차라리 1차 뉴스 유통과 편집권을 버리고 포탈은 새로운 비즈니스 지형을 그려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네이버와 같이 오픈캐스트를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폐쇄성을 버리지 못한다면 지식IN 서비스의 Me Too 수준으로 변모할 수 밖에 없다는 일각의 비판을 면할 수 없다.

 

문제의 본질은 뉴스 편집권에 있지 않다. 
Web2.0
의 거대한 흐름을 이해하지 못하는 정부당국과 기존의 비즈니스 모델로 만들어진 수익력을 잃지 않으려는 포탈의 동상이몽식 다툼이다.  지루한 논쟁에 희생되는 것은 결국 공유와 개방의 시대에 소통의 주역이되고 있는 유저들이다.
1
차 뉴스 유통을 과감히 버리고 새판을 짜는 편이 현명할 것이다
. <>

-jeremy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