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레미의 OTT NEWS

(앱스토어)어플리케이션의 과잉시대! 롱테일의 마력 본문

N-Screen 미디어

(앱스토어)어플리케이션의 과잉시대! 롱테일의 마력

jeremy797 2010. 2. 8. 00:33

14만개의 아이폰 앱스토어 어플리케이션!  수십만권의 아마존 보유 도서, 8만편 이상의 넷플릭스 영화 및 TV 드라마 콘텐츠 ,  멜론, 엠넷닷컴 등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에 제공되는 원은 수십만개, 3만편 이상의 케이블이나 IPTV VOD !  이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가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기본적으로 수만편 이상의 콘텐츠에 파묻혀 있다. 

실로 어플리케이션의 과잉 시대이다
.

 

그러나 이용자들이 실제로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으로 즐기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는 그리 많지 않다.  얼마전 뉴욕 타임즈의 보도에 의하면 아이폰 이용자들은 한달동안 평균적으로 5개에서 10개 까지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다고 한다.  필자의 경우에도 11개 페이지를 어플리케이션으로 꽉 채우고 있으나 실제로 활발하게 즐기는 것은 10개가 채 되지 못한다.  트윗버드, ZD Net, Mobile RSS, 날씨, iPod, 판도라박스, 다음지도, Tap Tap3, Lets Golf .  엠넷닷컴을 통해 한달에 음악 다운로드 100여편, 디지털 케이블로 한달에 시청하는 TV VOD 5편 내외이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는 수만개에서 수십만편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수만편에서 수십만편에 이르는 어플리케이션의 과잉 현상은 롱테일과도 연관시켜 볼 수 있다.  롱테일 현상, 롱테일 콘텐츠에 대한 논리가 많이 인용되어 왔다.  꼬리에 있는 희귀성 콘텐츠의 판매량을 모으니 머리에 있는 잘 나가는 콘텐츠에 버금간다는 소위 역 팔레토 법칙이다. 2000년 초 IT 잡지인 와이어드(Wired)의 편집장 크리스 앤더슨이 아마존이나 구글등의 성공 사례를 분석하면서 웹 2.0 트렌드와 결부하여 언급 함으로써 지금까지 롱테일 경제학의 토대가 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분석에 의하면 롱테일에 포진한 콘텐츠의 판매량이 결코 머리에 속한 메이저 콘텐츠의 매출을 따라가기는 어렵다는 분석도 나오면서 롱테일 현상의 경제학적 의미는 논란의 여지가 되고 있다.

 

앱스토어의 14만개 어플리케이션으로 창출되는 애플의 매출은 어림잡아 2천억.  아이폰 등 단말기로 인한 매출 20조에 비하면 그리 큰 수치는 아니다.  그러나 애플이 이토록 앱스토어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단말기의 판매에 앱스토어의 양적 숫자가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앱스토어의  14만개 어플리케이션 중 상위 10% 만이 콘텐츠로 교류되고 한번도 다운로드 받지 못하고 쓸쓸히 내려지는 콘텐츠도 수천개에 이른다.

 

왜 이용자들은 이토록 어플리케이션 과잉 현상에 열광하는 것일까?

 

이러한 현상을 디지털 논리에서 찾기 보다 아날로그적 이용 행태에서 찾아야한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구매하는 행위는 물건을 구매하는 쇼핑 행위와 유사하다.  , 사고 싶은 물건을 위해 백화점에 가더라도 그 이외에 수많은 상품들을 눈요기 꺼리고 보고 즐긴다.  온라인 쇼핑도 마찬가지이다.  가격검색이나 유사한 상품군을 검색하고 장바구니에 담으면서 대리만족을 느낀다.

 

검색 이라는 행위를 통해 내가 찾고자 하는 상품이나 콘텐츠등이 반드시 어딘가에 존재하는 것을 경험한다.  콘텐츠나 어플리케이션을 판매하는 서비스도 내가 언제 찾을지 모르고  수만개의 콘텐츠의 제목이 무엇인지는 잘 모르지만 일단 양적으로 많아야한다고 생각한다.

 

어플리케이션의 과잉은 그것이 모두 나의 소유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내 것이 될 수 있다는 쇼핑 심리와 유사하다.  이러한 현상은 천원도 안되는 어플리케이션 때문에 수십만원을 호가하는 단말기의 판매를 부추기는 역할까지도 가능케 한다.  마치 10만원 정도의 옷을 사기 위해 백화점을 가지만 수십만원을 더 쓰고 오는 행위와 닮았다.

 

결국 머리에서 꼬리까지 다양하게 포진된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가 만들어내는 롱테일 현상은 롱테일이 만들어내는 경제학적 의미보다 그것이 존재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심리적 만족감을 주고 롱테일 콘텐츠 때문에 오히려 그것보다 훨씬 더 비싼 단말기 까지도 구매하게 만들어주는 마케팅적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이제 우리는 수만편, 수십만개의 콘텐츠와 어플리케이션에 둘러쌓인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였다.  저장하는 공간도 무한대로 확장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이나 콘텐츠의 크기도 점차 줄어들면 지금 보다 더 몇배의 양적 팽창이 가능하다.   

가장 위험스러운 것이 과잉의 시대에는 많이 가진 사람이 승자가 된다는 것이다
.  승자독식의 경제학은 아니러니하게도 현재의 디지털 환경에 더 어울리게 된다.  이점이 현재의 구글, 애플등의 글로벌 기업들이 무서운 이유이다애플이나 구글에 대항하기 위해서 더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진열하기 위한 경쟁은 한계가 있다.  과잉의 시대를 주도하는 사업자들에게 이기려는 사업자들에게는 새로운 해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