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레미의 OTT NEWS

Web Store,HTML5와 콘텐츠 기업의 대응 본문

N-Screen 미디어

Web Store,HTML5와 콘텐츠 기업의 대응

jeremy797 2010. 12. 19. 22:30

구글이 크롬 OS 기반의 Web Store를 선포했다. 클라우드 기반의 PC 환경을 만들어 기존의 OS 시장을 장악한 마이크로소프트에 강력한 경쟁자가 등장했다는 것은 앞으로 인터넷 환경에 큰 물결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Web Store의 등장은 영상, 신문,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커머스 형 서비스들에게는 좋은 기회가 될것으로 평가한다.  뉴욕타임즈, 아마존등이 구글의 Web Store에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는 것을 보면 이들의 선행적인 의지를 알 수 있다.

 


이를 준비하는 콘텐츠와 서비스 사업자들은 고민이 많다
.  영상, 신문등 미디어 기업들은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마켓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앱스토어는 서비스 기업들에게 새로운 고객을 창출할 수 있는 유통 채널이다.  그러나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는 보이지 않는 OS 제공사의 통제력이 존재한다.   결제, 서비스 가이드등 OS 제공사의 기준에 따라 제작해야 한다.

 

그런데 구글의 Web Store 가 등장했고 애플도 맥 기반의 스토어를 런칭할 계획이다.  이것에 대응을 어떻게 해야할것인가?

 

Web Store App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방식과 스토어 방식의 유통 구조를 따르고 있다.  Web에도 모바일의 앱스토어와 같은 형태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가 생기는 셈이다.

 

기술 환경을 구지 알 필요가 없는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해 익숙해진 앱스토어 의 사용 습관을 Web 으로 그대로 옮겨 사용하니 동일한 UX를 경험하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WebApp을 대체 한다고 보는 이분법적 시각은 큰 의미가 없다.  (퓨처워커님의 HTML5 앱스토어에 관한 참조)

 

오히려 Web Store 의 등장과 함께 동시에 각광을 받고 있는 HTML5 라는 웹 기술의 등장으로 콘텐츠 제공 방식이 더욱 다양화될 수 있다.   특히 HTML5로 독립적인 앱스토어의 출현도 나타나고 있다. 

결국 모바일 에코 시스템을 강하게 장악하고 있는 애플등 OS 제조사들의 앱스토어 통제력이 다소 약화 되거나 힘의 균형이 분산될 수 있다는 측면이 중요한 시사점이다.

 
Openappmkt
이 대표적 사례이다.  HTML5 기반으로 만들어진 이 서비스는 애플이나 구글의 통제권에서 벗어나 모바일 웹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모바일 웹에서
홈화면 설치 버튼을 눌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생성한다는 점이 기존 앱스토어의 사용성과 다를 뿐 전체적으로 유통의 모양새는 앱스토어의 쌍둥이 형제이다.

 

Openappmkt의 어플리케이션 설치 스크린샷(어플리케이션 설치 전/후는 앱스토어와동일 UX)


이러한 모델을
Web App 이라고 부르던, 변형된 앱스토어라고 부르던 그 호칭은 중요하지 않다.  인터넷과 연결된 단말기가 앱스토어와 유사한 유통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가 전달된다는 큰 틀은 앱스토어와 닮아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쉽게 수용할 것이다.

 

결국 구글의 Web Store의 등장과 HTML5의 웹 기술은 콘텐츠 유통의 다양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에 OS Telco 주도의 앱스토어에 서비스 통제력을 뺏앗겼다면 스스로 HMTL5의 웹기술을 활용하여 스스로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만들 수 있다.  

 

킨들, DC코믹스 등 애플의 앱스토어에 shop in shop 개념으로 입점하여 OS 진영의 우산 아래 있는 다양한 콘텐츠 유통 사업자들이 제각각 다양한 색깔의 공간을 에 만들어 놓고 단말기들을 연결하면 그만이다.

 

앱스토어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수익의 크기와 미래가치를 평가하여 어떤 사업자와 제휴할지, 아니면 독자적인 스토어를 만들지 고민하게 될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용자의 수용 수준이다.  직접 주소를 입력하여 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스토어를 열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 이외에도 또 어떤 혁신적 유통이 나올지 예측하고 준비해야 한다.

 

최근 미국의 넷플릭스는 200여개의 단말기에 넷플릭스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 방식으로 제공중이다.  최근 넷플릭스는 HTML5로 모체인 PC 기반 서비스와 200여개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합시키려는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물론 이들이 앱스토어를 직접 만들거나 하지는 않을것이다.  HTML5로 통일된 UX의 단일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는 있을 것이다.)

 


콘텐츠와 기업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용자들에게 일관된
UX를 제공하고 기술 개발을 위한 비용이 낮아야 한다.  그리고 OS 제공사들의 통제력에 맞서 브랜드와 서비스의 리더쉽을 지켜나감으로써
Open Distribution의 주도권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런점에서 넷플릭스의 HTML5 대비책이 나왔을 것이다 

(넷플릭스와는 반대로 BBC는 HTML5는 아직 시기 상조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  기업 마다 준비 상태는 다르다)

 

2010년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에 어플리케이션을 올리지 않는 기업들은 거의 없을 정도로 묻지마 앱스토어 열풍이었다.  그렇다면 2011년에는 또 구글 Web Store에 어플리케이션을 대응하기 위해 개발사를 찾아다녀야 할것인가?

 

조금은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  언론이나 분석가들도 구글과 애플의 동향이나 그들의 전략을 분석할 것이 아니라 본질적인 변화를 읽어내어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재미있는 분석이 있다. 아이패드가 Web Store의 어플리케이션에 영향을 주어 모바일과 PC UX가 통합되어 가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는 예측이다. 

 

아이패드의 UX가 콘텐츠를 더욱 풍부(rich)하게 보여주고 단순함과 화려함을 강조할 수 있고 터치스크린의 강점을 활용하여 융합형 콘텐츠를 부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아이패드의 장점이 PC에도 접목되고 있다는 것이다.   

 

태블릿과 PC가 서로 비슷해져가는 대표적 사례로 크롬 Web Store에 준비된 뉴욕 타임즈등 어플리케이션을 보면 콘텐츠의 배치는 매우 간결하고 미려하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아이패드와의 UX가 유사하기 때문에 흔히 PC의 웹 서비스에서 볼 수 있는 광고의 공간이 그리 많지 않다. 

혹시 이러한 UX의 유사성은 온라인 광고 시장에도 어떤 변화를 줄 수도 있지 않을까?  여기에 덧 보태어 다양한 Web Store의 증가는 기존 포털형 검색 시장에도 균열을 가져오는 것은 아닐까?   검색을 할때마다 따라 붙는 키워드 광고나 덕지덕지 사이트를 도배하고 있는 광고가 사라질 수 있다면 온라인 공간의 비즈니스는 새판을 짜야 한다.

 

정리되지 않은 고민이다.  논쟁할만한 많은 이슈들도 있다.  지난 6 SBS 미래 포럼에 연사로 나왔던 디즈니 CEO는 급변하는 시대에 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대응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실험을 강조했다.  선행적으로 만들고 고객에게 검증받는 방식을 반복함으로써 성공적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이다.   

 

HTML5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2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   또한 HTML5는 단지 기술 일뿐 최종적인 서비스나 앱스토어와 같은 유통 모델  그 자체가 아니다.   기술과 서비스와 사업의 간극이 좁아지는 시간도 필요하다. 
 
차근차근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고민해야 되지만 대응의 수준은 늘 임박해 왔을 때부터 시작된다.  2011년의 IT 담론은 외국 기업들의 움직임에 촉각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대응 전략을 숙고하는 자리가 많았으면 한다.